Skip to main content

Posts

Tavern, Bistro 낯선 이름의 음식점들

유럽을 못 가본 저는 뭔가 뒷골목 같으면서 테이블이 차려진 이런 곳이 유럽 같은 느낌이 듭니다만 사진이 유럽인지 아닌지는 모르겠네요. 한국에서는 레스토랑이라고 하면 옷도 좀 차려입고 들어가서 비싸고 낯선 음식을 불편하게 먹는 분위기 잡는 곳이라 생각되었는데, 호주에서는 음식을 사 먹는 곳을 더 광범하게 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레스토랑 restaurant 은 프랑스가 어원인데, 한국에서는 프랑스식으로 발음을 하려고 애쓴 반면 호주에서는 영어처럼 읽어버리죠 마치 레스토란트 처럼 말이죠. cafe는 까페라 하지 않고 케페이라 하고 말입니다. 호주에서 낯설게 본 음식접 타입 중에 tavern과 bistro가 있는데요, 궁금해서 어떤 특성이 있는지, 아니 있었는지 찾아 보았습니다. Bistro는 프랑스 파리에서 시작된 모양입니다. 아파트 맨 아래층 지하층에서 입주자들을 주 대상으로 하고 만들어 오래 놔 둬도 되는 음식을 해 놓고 저렴하게 파는 형태로 시작했다 하네요. Tavern은 라틴 어원을 가진 것으로, 여관처럼 손님이 묵는 숙소에서 술과 음식을 같이 판 것이 시초라고 합니다. 그래서 가장 비슷한 단어는 inn인 것 같습니다. 골드코스트에는 한국인 업소 중에 이렇게 숙박과 음식업을 같이 하고 있는 데가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사람이 살거나 지나가는 곳에서는 늘 음식도 필요하고 술이나 커피도 필요하고 그렇죠. 결국은 시작이 어땠든 현대 사회에서는 음식도 팔고 음료도 팔고 술도 파는 비슷비슷한 형태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평범한 이름보다 Bistro 비스트로, Tavern 태번과 같은 이름을 붙이니 더 운치가 있는 것 같습니다. 광고 문의: info@brisbanestory.com

차를 빼앗으려다 실패 도주

어제 브리즈번 Cannon Hill에서 일어난 사건입니다. 한 여성이 (쇼핑을 하고 와서) 차에서 짐을 내리고 있는데 다른 여성이 접근을 합니다. 차에 올라타서는 꽂혀있는 키를 돌려 차에 시동을 걸려고 했고 차 주인은 소리를 지릅니다. 비명을 듣고 옆집에서 한 남성이 나와 차를 훔치려던 여자를 잡습니다. 이 때 차 안에서 망을 보고 있던 남성이 도끼를 들고 나와 이들과 마주치게 됩니다. 남자 강도는 여자 강도는 구출하는 데 성공했지만 도끼를 놓고 도망을 치게 되었네요. 둘은 차를 빼앗지 못하고 자신들이 타고 온 Commodore 승용차를 타고 도주했다고 하는데, 잡히는 것은 시간문제일 것으로 보입니다. 연말이라 사건 사고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그 중 최고는 역시 교통사고니 누구에게나 위험은 존재한다고 봐도 되겠습니다. 광고 문의: info@brisbanestory.com

하늘에서 떨어진 야구공?

크리스마스 다음날인 복싱데이에 얼음 덩어리가 하늘로부터 떨어졌습니다. NSW에서 올라온 스톰이 브리즈번 서부를 지나면서 비바람과 함께 우박까지 뿌려주었는데요, 아무리 여름철에 우박이 떨어지기도 한다지만 이런 사이즈의 우박이라니요? 위 아래 사진은 Towoomba에 떨어진 우박 사진들입니다. 한동안 맑고 건조하기만 했던 날씨가 크리스마스를 기해 흐리고 비가 오는 예측불허의 날씨가 되어, 야외활동을 계획했던 분들에게 고민과 갈등을 안겨주고 있는데요, 이런 날씨는 새해 연휴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광고 문의: info@brisbanestory.com

연말, 안경, 그리고 Spectacle Supply Scheme

호주에 오기 전에 한국에서 뭘 준비해 오면 좋을까요? 하는 질문에 종종 호주에는 안경이 비싸니 안경을 해 오라는 대답을 듣곤 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안경 때문에 Medibank같은 사립의료보험 Extra에 가입하신 분들도 많은데요, 이 안경은 아마 일년 단위(Calendar Year)로 새로 갱신되는데요, 즉, 12월에 안경을 맞추고 해가 바뀌어 1월에 또 맞추고 할 수는 있지만, 1월에 하고 같은 해 12월에 하고는 안 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런 점에서 12월이 다 되어 가는 이 시점이 올해 마지막 찬스를 잡으실 시점일 수도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SSS라고도 줄일 수 있는 Spectacle Supply Scheme 소개입니다. 퀸즐랜드 정부에서 안경을 공짜로 주는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상은 영주권자 이상으로 연금자 카드 등(Centrelink  Pensioner Concession Card, Centrelink Health Care Card, Queensland Government Seniors Card 등)을 6개월 이상 소지하고 있는 분을 대상으로 합니다. 좀 간단히 말해 대체로 나이 드신 영주권자, 시민권자에게 해당된다고 하겠네요. 부모님을 모시고 있는 가정은 관심을 가질 만 합니다. 안경사가 있는 안경점에서 신청가능하며, 서류처리는 안경점에서 해 주니 어려움이 없으실테고, 안경이 다 만들어져 오기까지 기간이 좀 긴 것이 흠입니다. 최장 2달? 이렇게 필요한 안경을 무료로 맞추시고, 2년이 지나면 다시 같은 방법으로 눈에 맞는 새로운 안경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의 관련 안내 페이지는 아래 링크로 가실 수 있습니다. [안내 페이지 바로가기] 광고 문의 : info@brisbanestory.com

멜번 고의로 인도 덮친 차 19명 다쳐

멜번 시내 목요일 오후 5시, Suzuki Vitara 자동차가 갑자기 인도로 올라와 사람들을 치고 다닙니다. 운전석에 홀로 앉아 사람들을 밀고 다닌 범인은 32세의 아프칸계 Saeed Noori, 19명에게 상해를 입히고 난 뒤 어딘가를 들이받고 멈춘 것 같은데, 비번인 경찰에게 잡혔습니다. 비번인 경찰은 자신이 상처를 입으면서도 범인을 잡아 구류하고 있었고, 곧이어 출동한 경찰에게 범인을 인도했습니다. 다양한 연령대의 남녀들이 차에 부딛혀 상처를 입었고 이 중 80대 남성은 중태입니다. 사건은 테러와는 무관하며, 개인의 짓인데, 범인은 가벼운 폭행, 약물 전과가 있고 특히 정신질환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현장에서 사건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던 20대도 경찰에 연행되었으나 범행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광고 문의 : info@brisbanestory.com

하수도의 지방덩어리 fatberg

하수도나 변기에 기저귀나 생리대 같은 걸 버리면 안 된다는 것은 100%의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일 겁니다. 그렇다면 기름은요? 요리하면서 남은 기름은 어디에 버리시나요? Urban Utilities가 촬영한 브리즈번 하수도의 사진을 보면 영락없이 지방 덩어리 같은 것들이 보입니다. 더럽고 냄새가 나면서 하수도의 흐름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하수도로 흘러 보맨 기름이, 녹지 않는 크고 작은 물건들과 서로 엉겨 붙어 이런 fatberg(북극의 빙산 iceberg를 빗대어 만든 용어인 듯)를 형성한 것이랍니다. 20%의 사람들이 싱크대로 쓰고 남은 기름을 부어 버린답니다. 50%가 남은 소스를 싱크대로 흘려 보낸다고 하며, 18%가 커피 내린 가루를 싱크대에 버린다고 합니다. 어 그러면 안 되는 거였어? 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죠? 안 되는 모양입니다. 기름 같은 것이 많이 남으면 별도의 용기에 부어서 쓰레기통에 버리고, 팬에 묻은 기름이나 오염물질은 휴지로 닦아서 버리고, 커피 가루도 쓰레기통에. 이런 것들은 시의 공공 하수도 배관만 막히게 하는 것이 아니라 가 가정의 하수도 배관도 막히게 한다니 모두를 위해서 또 자신을 위해서 실천해 볼까요? 광고 문의: info@brisbanestory.com

성적조작해킹 시도 적발

은행잔고나 학교 성적은 은행이나 학교 컴퓨터 이상으로 좀 올라가면 좋겠다 싶은 것들입니다. 가능하다면 누군가는 해킹을 하고 싶은 대표적인 것들이겠죠. UQ 좀 더 정확히는 UQ의 Foundaion 과정을 맡은 IES College의 컴퓨터가 해킹되어 대략 30명에 이르는 외국인 학생 성적이 더러는 몇 %, 일부는 두 배로 올라가는 일이 있었다고 합니다. 다행히 학교 직원들의 실시간 상호검사 시스템과 비 컴퓨터 수동검사 시스템에 걸려 이 달 초부터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성적조작 같은 커다란 범죄부터 개인의 간단한 부정행위까지 이런 것들은 다른 사람들의 정당한 노력을 갉아먹는 행위이며, 외국인의 경우 자국의 명예를 훼손하기도 하는 행위임을 다시 한 번 생각해 주시길.